CS 일기장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14기 3개월차 부트캠프 본문

한화시스템 beyond sw캠프/월간 회고록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14기 3개월차 부트캠프

덩할 2025. 4. 1. 00:48

3월이 지났다.

3월은 더 시간이 빠르게 흐른 것 같다. 

배우는 양과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는 삶을 살다보니, 시간이 엄청 빠르게 흐른 것 같다.

2차 프로젝트도 마감하고 이제는 이렇게 빠르는 시간이 계속해서 아쉽다. 사람들 만나는 재미로 학원을 다니는 것도 있는 것 같다.

깨달은 점도 많고, 여전히 나는 생각이나 감정 조절에서 어린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한 프로젝트 주간이였다.

 

팀원 덕에 야경이 이쁜 곳에서 작업해보는 좋은 경험을 했다.

 

1) 배웠던 기술 set

1. Spring Framework

Spring에 대해 배웠고 Spring에서 중요한 개념인 IoC(제어의 역전), DI(의존성 주입), AOP(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다양하게 배울 수 있었다. 제어 흐름 구조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하는 것이 컨테이너를 통해 이루어지고, 의존성 주입과 여러 가지 경우를 확인하고 빈 설정을 컨테이너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2.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에 대해 차이점이 매번 헷갈렸던 것 같다. 이제는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프레임워크는 건축물의 도면이라 하면, 라이브러리는 집을 짓기 위한 도구와 같다. 제어의 역전에서 개념의 차이가 존재하며,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줄 안다는 것이 코딩을 잘한다고 보긴 마냥 어려운 것 같다. 개념적으로 잘 알아야 하는 것 같다.

 

3. MyBatis, JPA

스프링 부트에서 DB 작업을 하기 위한 영속성 프레임워크 2가지 MyBatis와 JPA에 대해 배웠다.

MyBatis는 SQL 중점이고, JPA는 테이블을 객체 관점에서 다룬다. 각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동적 쿼리를 지원하는 마이바티스는 RDB의 조회가 많은 쿼리에서 유리하고, DML 작업을 정말 간단하게 처리해주는 Spring Data JPA가 존재한다.

 

4. REST API

요청을 보내는 것과 응답을 보내는 것으로 웹 페이지를 그리지 않고도 개발을 할 수 있으며, GET, POST, PUT, DELETE 각각의 Mapping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이제는 알 것 같다. API 명세에서 동사를 되도록 쓰면 안된다는 점을 까먹고 url 경로를 잘못 설정하는 것 같다.

 

5. Spring Cloud Eureka

서비스 단위로 쪼개어 배포를 하여, 영향을 덜 받게 하는 MSA에 대해 배웠는데 Spring에서 대표적인 Dependency인 Spring Cloud Eureka에 대해 배웠다. 배포에서 어떤 장점이 있는지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아 이럴 때 써야하는 거구나! 하고 체감을 할 수 있을 것 같 아직은 잘 모르겠다.

 

2. KPT

Keep

이번 피어 리뷰에서 다들 포기하지 않는 자세를 칭찬해줬다. 그래도 나란 사람도 변하네 하며 놀랐다. 예전엔 포기가 빨랐으며, 절대 쉽게 갈려고 했다. 빠른 포기하던 내가 지금도 물론 안해 이러면서 난리치고 다시 앉아서 시도해보고 이 과정을 반복하는데, 내가 원하는 끈기를 얻어가는 것 같아 재밌는 것 같다.

 

Problem

여전히 어린 애 티가 났던 부분이 조금 있다. 감정 조절을 잘하고, 멘탈 잘 잡을 수 있도록 하자, 수업을 듣거나 복습하는 생활적인 부분에서는 괜찮았다.

 

Try

TO-DO에 관련된 것을 노션 템플릿을 얻었다. 계획대로 안되면 날짜를 바꾸더라도 그 날 할 것들은 TO-DO에 우선순위라도 적어볼려고 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우선 순위를 나눴더라면, 조금 더 발표 자료가 알차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인데, 이 점이 아쉬워서 저번 주말에 바로 도입했다.

 

이제 4월...

ㅜㅜㅜㅜㅜㅜ 시간 너무 빨라

열심히 하자!